오병권 행정안전부 자연재난실장(가운데)이 지난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2025년 여름철 자연재난(풍수해·폭염) 종합대책’에 대해 출입기자 대상으로 정책설명회를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정부가 '2025년 여름철 자연재난(풍수해·폭염)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오는 15일부터 풍수해·폭염 대책기간을 운영한다.
이번 대책은 인명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호우·태풍 등 풍수해에 대해, 폭염은 기존보다 5일 앞당겨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시행한다.
정부는 심화하는 이상기후와 재난에 취약한 고령인구 증가 등을 고려해 더욱 촘촘한 재난 대비·대응체계를 구축한다.
이에 침수·붕괴 등에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발굴하고, 위험지역은 '인명피해 우려지역'으로 지정해 집중 관리한다.
장마기간에 풍수해 위기경보는 관심에서 주의로 높이고, 호우 긴급재난문자나 풍수해 재난위험 음성 알림 등을 활용해 재난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취약시설 예찰과 주민 대피 지원을 위해 현장 지리에 밝은 이·통장과 지역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마을순찰대를 운영한다.
또한 냉방비 부담 완화를 위해 전기요금 누진 구간은 완화(7~8월)하고, 장애인·수급자 등 대상 복지할인 한도는 확대(6~8월)한다.
폭염 취약계층 유형을 기존 3대 분야에서 4대 분야 15개 유형으로 세분해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민감 대상별 특성을 고려해 예찰망도 두텁게 확보한다. 65세 이상 돌봄이 필요한 고령층은 폭염 특보 시 생활지원사 3만 7000여 명이 매일 1회 이상 안부를 확인한다.